▲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지난 3일 5.18암매장 추정지 유해 발굴 작업 최종 승인 후 옛 광주교도소에 들러 5.18기념재단 김양래 상임이사에게 유해 발굴 작업과 관련된 설명을 듣고 있다.
  5·18 암매장지로 추정되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지난 6일부터 유해 발굴 작업이 시작됐지만 아직까지 암매장 흔적은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사령부가 비밀리에 시신을 암매장했을 가능성이 있는 장소로 지목됐다. ‘광주 사태 진상 조사’ 문건 중 ‘교도소 습격사건’에 따르면 광주교도소에서 민간인 28명이 사망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 하지만 5·18 직후 이곳에서 발견된 시신은 단 11구로 대략 16~17구의 시신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구체적인 발굴 장소는 교도소 북측 담장 인근 117m이며 당시 3공수여단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재단은 당시 출소 예정자의 제보와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 지휘관이던 3공수 김모 전 소령의 약도를 토대로 암매장 추정지를 선정했다. 김모 전 소령이 1995년 서울지검에서 ‘관이 없어 가마니로 시신 2구씩을 덮고 묻었다’고 진술한 것을 토대로 6개의 구덩이를 찾는 것이 목표였다. 지난 나흘 간 암매장지 1단계 발굴 조사 결과 교도소 생활쓰레기와 배관 다발 등 과거 굴착 이력만을 확인했다. 발굴단은 당초 1단계 작업 구간 위쪽 40m 구간을 다시 10m씩 나눠 2단계 발굴에 착수할 예정이었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은 뒤 방향을 결정키로 했다. 김양래 5·18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5·18 당시 행방불명자의 시신이 암매장됐다가 다른 장소로 옮겨졌을 가능성 등을 열어두고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해 발굴 주체는 5·18 기념재단이며 작업은 문화재 발굴 방식으로 정밀하게 진행됐다. 재단은 지난 3일 법무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으며 5일까지 콘크리트와 잡초를 제거하는 사전 작업을 진행했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지난 3일 옛 광주교도소에 들려 “5·18 기념재단에서 추진 중인 유해 발굴 사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을 하겠다.”며 “겨울이 오기 전에 되도록 신속하게 발굴 사업이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