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주년을 맞은 올해 3·1절 행정안전부(행안부)의 공식 카드뉴스에 “3·1운동이 만주 하얼빈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의 독립선언으로 일어났다”는 잘못된 설명이 표기됐다.

행안부 포스터 또한 3·1운동을 “1919년 3월 1일, 만주 하얼빈에서 시작된 임시정부의 독립선언과 동시에 만주, 한국, 일본 등에서 일어난 대규모 항일 독립운동입니다”라며 사실과 다른 내용을 게재했다. 논란 끝에 현재 게시물은 삭제된 상태다. 그러나 행안부의 잘못된 역사 서술이 없던 일이 되지는 않는다.

3·1운동은 행안부가 표기했던 것처럼 임시정부의 독립선언으로 시작되지 않았다. 이는 민족대표 33인의 기미 독립선언서를 통해 시작됐다. 임시정부가 만주 하얼빈에서 시작된 것도 아니다.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상하이 조계에서 국내·외 등지에서 활동하는 독립운동가가 모여 결성했다. 또한 시간 순서로 보아도 임시정부는 3·1 운동 이후에 수립된다. 3·1운동에 대한 행안부의 설명은 어느 방향으로 보아도 완벽한 오류다. 행안부는 뒤늦게 “책임을 통감하고 송구하게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제대로 된 설명은 없었다.

정부의 공식 부서인 행안부가 잘못된 역사를 서술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조용하다. 사회도, 언론도 모두 잠깐만 관심 가졌을 뿐이다. 비슷한 일은 작년 12월에도 있었다. 국방부가 ‘정신전력교육 기본교재’(교재)에서 독도를 한반도 지도에서 제외하고, 영토분쟁 대상으로 서술한 것이다. 독도는 영토분쟁 대상이 아니라 엄연히 우리나라 영토에 속한다. 이후 교재는 전량 회수됐으나 국방부는 잘못에 대해 어떤 사과도 없었다.

국가 기관은 작은 언행이라도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나라의 시각에서 봤을 때 국가 기관의 공식적인 언행은 그 나라의 역사의식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그렇기에 정부는 더욱이 잘못을 인정하고 바로 고칠 줄 아는 책임감과 역사의식을 갖춰야 한다.

역사철학자 ‘로빈 조지 콜링우드’(Robin George Collingwood)의 저서 <역사학의 이상>에 “역사는 죽은 과거가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 아직도 현재 속에 살아있는 과거다”는 구절이 있다. 역사는 단순히 과거의 일을 기록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역사는 사람들의 꾸준한 관심과 현시대 사람들이 역사를 대하는 태도 속에 살아있다. 시대를 살아가는 각 개인은 모두 역사 속에서 살아가며,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다. 그러한 존재로서 각 개인 그리고 국가 기관은 역사에 지속해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